작년에 이어 올해도 고공 행진하는 물가와 금리로 소비자들의 경제 사정은 나아지지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정부는 대출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은 외면하며 대기업의 세액감면에는 아낌없는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 주목할 만한 핫이슈
삼성전자는 4조7천억 세액감면, 대출취약계층은 몇백억 신용보증도 안 되나
▶ 정부, 법정최고금리 인상 아닌 대출취약계층 제도적지원책 마련해야 ▶ 신용보증기금·주택보증과 같이 정부가 대출취약계층 신용보증 나서야
정부가 20%대인 법정최고금리를 최고 27.9%까지 올리는 것을 검토 중이다. 대출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카드사·저축은행·대부업체 등이 조달금리 상승으로 ‘대출 중단’을 선언하면서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법정최고금리 인상은 대출취약계층의 채무불이행과 서민경제 파탄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대출취약계층이 대출을 못 받는 것이 걱정이라면 법정최고금리를 올릴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 신용보증기금이나 HUG 주택도시보증처럼 정부가 대출취약계층의 신용보증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삼성전자가 받는 세액공제 4조 7천억 원에 비하면, 정부 신용보증에 따른 손실 규모는 최대 몇백억 원에 불과하다. 서민경제의 파탄을 막기 위해서도 감당하기 어려운 부담만 부과할 것이 아니라, ‘서민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부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이번 주부터 법정최고금리 인상을 위해 국회 설득작업에 들어간다.
LGU+ 18만 명의 고객정보가 유출돼 충격을 주고 있다. 통신기업의 생명인 보안이 뚫린 것으로 유출된 소비자의 개인신상정보가 불법적인 일에 사용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LGU+는 경찰사이버수사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하지만, 기업의 안일한 개인정보보호 인식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으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통신사는 물론, 은행·카드사·보험사·대형마트·SNS·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으로 발생하는 개인정보유출 사태를 막기 위한 집단소송제 도입과 징벌적 손해배상제 강화가 시급하다.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선두 업체인 교촌치킨이 개별급속냉동(IQF) 방식으로 제조한 급속냉동육을 병행 사용해 논란이다. 교촌치킨은 원육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부분육에 한해 사용하고 있으며 신선육과 품질 차이가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개별급속냉동(IQF) 사용에 대한 정보 표시가 제대로 안 돼 소비자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 특히, 신선육만을 사용하는 ‘제너시스BBQ’, ‘BHC치킨’ 등 다른 프랜차이즈와 비교해도 납득하기 어려운 변명으로 소비자를 우롱한 것이나 다름없다.